정자생존기간, 자궁내정자생존기간, 배란일, 생리중관계, 생리중임신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자생존기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자의 생존기간을 알아야하는 이유는 정자가 생존하는 동안 배란이 이루어지면 임신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배란일은 한달을 기준으로 일주일은 생리기간이고, 나머지 3주중 앞뒤로 일주일 제외하고 가운데 일주일정도가 배란일입니다. 그래서 이 기간동안은 피임을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정자생존기간은 어떻게 될까요?
정자가 질 안에서 생존가능한 기간은 72시간 3일정도 생존 가능합니다. 관계후 바로 샤워를 한다고 해도 몸안에 들어온 정자는 빠른속도로 난자를 향해 가기에 임신가능성이 없어지는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사정된 정자의 수는 약 5억마리정도로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쿠퍼액으로도 임신이 되는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쿠퍼액은 남성이 성적으로 흥분할 때 나오는 맑고 투명한 액체인데요. 쿠퍼액과 정자는 만들어지는 곳이 달라서 정자가 없다고 생각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조사해보니 쿠퍼액에도 정자가 있으면 심지어 운동성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쿠퍼액에 운동성을 갖춘 정자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정자의 양이 굉장히 적기 때문에 임신가능성은 희박합니다. 그래도 그 희박한 가능성을 뚫고 임산한 경우도 4%나 되니 조심해야 합니다.
생리중 임신 가능성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생리주기가 짧거나, 생리를 일주일이상 길게 하는 경우에는 생리중에도 임신이 가능합니다.
생리주기에 따라서 배란일이 바뀌기 때문에 생리직전, 생리중, 생리직후에도 배란이 될 수 있습니다.
생리주기는 사람마다 차이가 크고, 환경요인, 스트레스 등등으로 주기가 계속 변합니다.
그래서 생리중 관계를 하더라도 피임은 필수입니다.
그리고 남성이 에이즈에 걸렸거나 보균자라면 생리혈을 통해서 에이즈가 더 잘 전파될 수 있습니다.
에이즈는 상대방이 걸렸는지 눈으로 확인이 어렵지만 또다른 성병인 헤르페스는 성기에 오돌토돌한 모양으로 생겨있으니
상대방이 헤르페스에 걸린 상태라면 관계를 가지면 안됩니다.
임신을 원치않는경우는 피임이 필수입니다. 피임약과 정관수술이 어렵다면 콘돔을 사용하여 원치않는 임신을 예방해야 합니다. 만약 피임없이 배란일에 관계를 한 경우 임신이 걱정된다면 24시간 이내에 병원에서 사후피임약을 처방받아 먹어야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후피임약은 몸에 좋지 않아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정자생존기간, 자궁내정자생존기간, 배란일, 생리중관계, 생리중임신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